https://product.kyobobook.co.kr/detail/S000001450027
일득록 | 정조 - 교보문고
일득록 | 신하들이 보고 들은, 정조(正祖)의 언행을 기록한 책『일득록(日得錄)』은 조선의 제22대 왕인 정조(正祖, 1752~1800)의 언행을 기록한 책이다. 『일득록』은, 정조가 자기의 눈으로 미처
product.kyobobook.co.kr
I. 시대를 초월한 군주의 목소리, 《일득록(日得錄)》
《일득록》은 조선 제22대 국왕 정조(正祖, 재위 1776~1800)의 언행록으로, 그의 통치 철학, 학문관, 리더십, 그리고 인간적인 면모까지 생생하게 엿볼 수 있는 귀중한 기록입니다.
이는 단순한 역사 자료를 넘어, 한 시대의 정점에서 치열하게 고민하고 국가를 이끌었던 위대한 군주의 지혜가 담긴 고전이라 할 수 있습니다.
장르는 역사 기록이자 정치 철학서, 리더십 교본으로 분류할 수 있으며, 책 전반에는 엄정하면서도 깊은 성찰이 느껴지는 분위기가 흐릅니다.
II. 저자 소개: 조선의 르네상스를 이끈 학자 군주, 정조(正祖)
정조(1752~1800, 본명 이산 李祘)는 영조의 손자이자 비운의 사도세자 아들로, 험난한 정치적 환경 속에서 왕위에 오른 인물입니다. 그는 조선 후기 최고의 개혁 군주이자 학자 군주로 평가받습니다.
강력한 왕권을 바탕으로 탕평책을 계승 발전시켜 정치 안정을 도모했으며, 인재 양성과 학문 연구를 위해 규장각을 설치하고 운영했습니다. 수원 화성 건설, 신해통공(금난전권 폐지) 등 민생 안정과 상공업 발전을 위한 정책을 추진하며 조선의 문예 부흥기를 이끌었습니다.
정조는 경학(經學)을 비롯한 제반 학문에 능통했으며, 끊임없는 자기 성찰과 학습을 통해 군주로서의 덕목을 함양하고자 노력했습니다. 《일득록》은 이러한 정조의 일상적인 말과 행동 중에서 교훈이 될 만한 것들을 규장각 신하들이 기록하고 편찬한 것으로, 그의 통치 이념과 인간적 면모가 가장 직접적으로 드러나는 저작입니다.
III. 상세 줄거리(일득록의 내용과 구성)
《일득록》은 일반적인 서사 구조를 가진 책이 아니라, 정조가 신하들과 국정을 논의하거나 경연(經筵)에서 학문을 강론할 때, 혹은 일상적인 대화 속에서 드러낸 말과 행동을 주제별(학문, 인재, 정치, 백성, 자기 성찰 등)로 분류하여 기록한 어록집입니다. 따라서 전통적인 의미의 줄거리나 반전, 결말은 존재하지 않습니다.
책의 내용은 크게 정조의 ▲학문관(學問觀)과 경세(經世) 철학 ▲인재 등용과 관리의 원칙 ▲백성을 아끼고 살피는 애민(愛民) 정신 ▲정치 운영의 원리와 방법 ▲스스로를 단련하고 경계하는 수신(修身)의 자세 등으로 구성됩니다.
예를 들어, 정조는 학문이 단순히 지식을 쌓는 데 그치는 것이 아니라, 반드시 현실 정치와 백성의 삶에 도움이 되어야 한다(實學)고 강조합니다. 또한 인재를 등용할 때는 신분이나 파벌에 구애받지 않고 오직 능력과 도덕성을 기준으로 삼아야 한다고 역설하며, 실제로 탕평책을 통해 이를 실천하려 노력했습니다.
신하들의 직언(直言)을 경청하고 토론을 즐겼으며, 때로는 자신의 부족함을 솔직하게 인정하고 반성하는 모습도 보입니다. 《일득록》은 이처럼 군주의 자리에서 겪는 고뇌, 국가 경영의 원칙, 학문과 수양에 대한 끊임없는 탐구 등 정조의 다면적인 모습과 그의 시대정신을 압축적으로 보여주는 기록 모음집이라 할 수 있습니다. 정조 사후 순조 때 규장각 신하들이 편찬하여 완성했습니다.
IV. 이 책을 읽어야 하는 이유
- 조선 최고 개혁 군주의 리더십 정수 확인: 정조가 어떻게 강력한 왕권을 확립하고, 인재를 등용하며, 국가적 과제를 해결해 나갔는지 그의 육성을 통해 직접 배울 수 있습니다. 이는 현대 리더들에게도 시사하는 바가 큽니다.
- 시대를 초월하는 지혜와 통찰 습득: 《일득록》에 담긴 학문, 정치, 인생에 대한 정조의 깊은 성찰은 200여 년이 지난 오늘날에도 여전히 유효한 가치와 교훈을 전달하며, 삶의 방향을 설정하는 데 도움을 줍니다.
- 역사적 인물 정조에 대한 입체적 이해: 교과서나 대중 매체에서 단편적으로 접했던 정조의 모습 너머, 그의 철학적 깊이, 정치적 고뇌, 인간적 면모를 총체적으로 이해하며 역사적 상상력을 확장할 수 있습니다.
V. 현대 사회에서의 의미
- 소통과 경청의 리더십 재조명: 정조는 신하들과의 끊임없는 토론과 경연을 통해 정책을 결정하고 국정을 운영했습니다. 이는 현대 사회 리더들에게 소통의 중요성과 열린 자세의 필요성을 다시금 일깨워 줍니다.
- 원칙과 기준의 중요성 강조: 정조는 법과 원칙에 따른 공정한 정치를 강조했습니다. 그의 언행은 이해관계가 복잡하게 얽힌 현대 사회에서 원칙을 지키는 리더십과 시스템의 중요성을 되새기게 합니다.
- 끊임없는 학습과 자기 성찰의 가치: 정조는 군주이면서도 학문을 게을리하지 않았고, 끊임없이 스스로를 성찰했습니다. 이는 급변하는 현대 사회를 살아가는 우리 모두에게 평생 학습과 자기 계발의 중요성을 역설합니다.
VI. 중요 구절 및 해설
- "학문이란 실제 쓰임(實用)에 있지 않으면 빈 말에 불과하다." (《일득록》 학문 편): 정조는 지식 그 자체보다 그것이 현실 문제 해결과 백성의 삶 개선에 어떻게 기여하는지를 중시했습니다. 이는 지행합일(知行合一)과 실사구시(實事求是)를 강조하는 그의 실학 정신을 보여줍니다.
- "인재를 얻는 길은 넓어야 하고, 쓰는 길은 공정해야 한다." (《일득록》 인재 편): 신분이나 당파에 얽매이지 않고 오직 능력과 덕망을 기준으로 인재를 등용하고 적재적소에 배치해야 함을 강조합니다. 그의 탕평책의 근본 원리를 보여주는 구절입니다.
- "백성은 나라의 근본이니, 임금은 마땅히 백성의 뜻을 하늘의 뜻처럼 받들어야 한다." (《일득록》 애민 편): 민본주의(民本主義) 사상에 입각하여 백성을 통치의 가장 중요한 기반으로 삼고, 그들의 고통에 공감하며 어려움을 해결해주려는 애민정신을 드러냅니다.
- "나의 한마디 말이 온 나라에 영향을 미치니, 어찌 두려워하고 삼가지 않을 수 있겠는가?" (《일득록》 수신 편): 군주로서 자신의 말과 행동이 가지는 무게를 깊이 인식하고, 끊임없이 스스로를 경계하며 신중하게 처신하려는 자세를 보여줍니다. 지도자의 책임감을 강조하는 구절입니다.
- "치우침 없이 공평무사한 마음(大中至正)으로 사물을 대하는 것이 정치의 요체이다." (《일득록》 정치 편): 특정 세력이나 이익에 편중되지 않고, 공정하고 균형 잡힌 시각으로 국정을 운영하는 것이 이상적인 정치임을 역설합니다. 탕평의 이념적 기반을 엿볼 수 있습니다.
VII. 주요 특징 및 강점
- 군주의 육성을 통한 직접성: 신하들이 기록한 정조의 실제 발언과 행동을 담고 있어, 그의 생각과 철학을 가감 없이 생생하게 접할 수 있습니다. 이는 다른 어떤 2차 자료보다 강력한 설득력과 현장감을 제공합니다.
- 다층적 해석의 가능성: 《일득록》은 정치학, 리더십, 철학, 역사학 등 다양한 학문 분야의 관점에서 분석하고 해석할 수 있는 풍부한 텍스트입니다. 독자의 관심사와 배경지식에 따라 무궁무진한 의미를 발견할 수 있습니다.
- 이상과 현실의 조화 추구: 이상적인 유교 군주상을 지향하면서도, 당시 조선 사회의 복잡한 현실 문제들을 해결하기 위해 고뇌하고 실천했던 정조의 노력이 담겨 있습니다. 이는 이론과 실천 사이의 균형점을 찾고자 하는 이들에게 깊은 울림을 줍니다.
VIII. 추천 대상
- 역사, 특히 조선 후기 정치사와 정조 시대에 관심 있는 독자: 정조라는 걸출한 군주의 통치 철학과 리더십 스타일, 그리고 그가 살았던 시대의 고민과 분위기를 생생하게 접하며 역사적 이해의 깊이를 더할 수 있습니다. 정조 연구의 필수 자료로 활용될 수 있습니다.
- 리더십과 조직 운영에 대해 고민하는 경영자, 관리자, 공직자: 시대를 초월하는 정조의 인재 등용 원칙, 소통 방식, 위기관리 능력, 비전 제시 능력 등은 현대 조직의 리더들에게도 여전히 유효한 통찰과 실질적인 교훈을 제공합니다.
- 동양 고전과 군주학에 관심 있는 인문학 독자: 유교 경전을 기반으로 한 정조의 독자적인 해석과 그것을 현실 정치에 적용하려 했던 노력은 동양 고전의 현대적 의미와 실천적 가치를 탐구하는 데 훌륭한 사례 연구가 될 것입니다.
- 자기 계발과 성찰을 통해 더 나은 삶을 지향하는 모든 독자: 끊임없이 배우고 자신을 성찰하며 이상적인 인간상, 이상적인 군주상에 도달하고자 했던 정조의 치열한 노력과 자세는 개인적인 성장과 발전을 추구하는 이들에게 깊은 감명과 강력한 동기 부여를 선사할 것입니다.
IX. 마무리 및 총평
《일득록》은 단순한 과거 군주의 언행 기록집이 아닙니다. 이는 한 시대를 책임지고 더 나은 세상을 만들고자 했던 위대한 리더의 철학과 고뇌, 그리고 실천 의지가 응축된 지혜의 보고서입니다.
정조가 던지는 질문과 해답들은 200여 년의 시간을 뛰어넘어, 혼란과 변화의 시대를 살아가는 현대인들에게 여전히 깊은 울림과 영감을 선사합니다. 그의 엄격한 자기 성찰, 백성을 향한 따뜻한 마음, 그리고 미래를 향한 개혁 의지는 우리가 어떤 가치를 추구하며 살아가야 할지 되돌아보게 만듭니다.
시대를 초월한 리더십과 삶의 지혜를 얻고자 하는 모든 이에게 필독을 권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