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728x90
바닥을 긁는 운동화 소리와 거친 숨소리만이 낡은 연습실을 채웠다. 밤 11시가 넘은 시간, 건물 전체에 불이 꺼지고 오직 혜림이 있는 3층 연습실에만 희미한 조명이 새어 나오고 있었다. 거울 속의 자신은 땀으로 번들거렸고, 금방이라도 울음을 터뜨릴 것 같은 얼굴을 하고 있었다. 또 오디션에서 떨어졌다. 심사위원의 무심한 표정, ‘감정이 부족하다’는 평가는 날카로운 칼날이 되어 혜림의 심장을 후벼 팠다. "감정... 감정이라니. 내 모든 걸 쏟아붓고 있는데." 혼잣말을 중얼거리며 그녀는 다시 음악을 틀었다. 피아노 선율이 공간을 가득 메우자, 혜림은 몸을 움직였다. 하지만 몸은 천근만근 무거웠고, 동작은 자꾸만 삐걱거렸다. 바로 그때였다. 거울 속 자신의 등 뒤로, 아주 희미한 그림자 하나가 어른거리는 ..
도시의 잿빛 소음은 민준의 영혼을 갉아먹고 있었다. 몇 번의 낙방 끝에 겨우 들어간 회사는 그에게 성취감 대신 무력감만을 안겨주었고, 텅 빈 자취방에 홀로 돌아오면 세상에 오직 자기 혼자만 남겨진 듯한 고독이 습기처럼 스며들었다. 그는 도망치듯 휴가를 내고 고향으로 내려왔다. 특별한 계획은 없었다. 그저 어린 시절의 공기가 그리웠을 뿐이다. 오랜만에 찾은 강가는 여전했다. 나른한 오후의 햇살이 윤슬이 되어 강물 위에서 부서지고, 갈대숲은 바람의 결을 따라 부드럽게 몸을 눕혔다. 민준은 의미 없이 강변을 따라 걸었다. 그러다 문득, 발치에 놓인 유난히 희고 매끄러운 조약돌 하나에 시선이 멎었다. 손에 쥐자 기분 좋은 무게감과 함께 서늘한 감촉이 전해졌다. 그런데 돌의 표면에는 무언가 새겨져 있었다. 먹물..
그 사람은 늘 흐린 날에만 나타났다. 장마가 시작되면 어김없이 우리 동네 작은 도서관 창가 자리에 나타났고, 가을 안개가 자욱한 날이면 공원 벤치에 앉아있었다. 우리는 그렇게 만났다. 비 오는 날 함께 우산을 쓰고 걷거나, 잿빛 하늘 아래에서 말없이 커피를 마셨다. 그와 함께하는 시간은 고요하고, 편안했으며, 어딘지 모르게 애틋했다. "햇살 좋은 날은 뭐해요?" 언젠가 내가 넌지시 물었을 때, 그는 희미하게 웃으며 찻잔만 내려다볼 뿐이었다. "그냥… 할 일이 좀 있어서." 그의 세상엔 햇빛이 없는 것 같았다. 밝고 화창한 날이면 그는 거짓말처럼 사라졌다. 연락처도, 사는 곳도 모르는 나는 그저 다음 흐린 날을 기다리는 것 말고는 할 수 있는 게 없었다. 사람들은 그를 '흐린 날의 신사'라고 불렀지만, ..
"어이쿠, 사장님. 오늘도 요 창가 자리는 여전히 비어 있네?" 단골 김 씨 아저씨가 계산을 하며 넌지시 물었다. 벌써 5년째, 수현의 작은 한식당 ‘엄마 손맛’의 창가 자리는 늘 그렇게 비어 있었다. 예약석 팻말이 놓여 있는 것도 아닌데, 신기하게도 아무도 선뜻 그 자리에 앉으려 하지 않았다. 마치 보이지 않는 누군가가 이미 자리를 차지하고 있는 것처럼. 수현은 희미하게 웃으며 늘 같은 대답을 반복했다. "네, 아저씨. 기다리는 사람이 있어서요." 김 씨 아저씨는 더 이상 묻지 않고 고개를 끄덕이며 가게를 나섰다. 기다리는 사람. 그 사람은 바로 5년 전, 빗길 교통사고로 허망하게 세상을 떠난 남편, 민준이었다. 민준은 유독 그 창가 자리를 좋아했다. 햇살이 따스하게 들어오는 오후, 그 자리에 앉아 ..
지유의 세상은 언제나 타인의 감정이라는 옅은 안개로 뒤덮여 있었다. 그녀의 귀는 다른 사람의 한숨 소리에 유난히 밝았고, 그녀의 눈은 미간에 잡히는 미세한 주름을 기가 막히게 포착했다. 그래서 ‘괜찮아’는 지유의 오랜 습관이자, 거의 반사적으로 튀어나오는 말버릇이었다. 괜찮지 않을 때조차도. “지유 씨, 미안한데 주말에 이 클라이언트 건 좀 맡아줄 수 있을까? 내가 급한 집안일이 생겨서.” 금요일 오후, 퇴근을 삼십 분 앞두고 팀장이 난처한 얼굴로 다가왔다. 지유의 머릿속에서는 주말 내내 보기로 약속했던 영화와, 새로 산 책과, 모처럼의 늦잠이 파노라마처럼 스쳐 지나갔다. 입술이 떨어지기 전, 수만 가지 생각이 오갔다. ‘팀장님도 오죽하면 나한테 부탁하시겠어. 집안에 무슨 일 있으신가 보네. 내가 조금..
세상의 모든 소리가 빨려 들어간 진공관 속에 사는 것 같았다. 사고로 목소리를 잃은 후, 내 세상은 그렇게 변했다. 웃음소리, 울음소리, 심지어 나지막한 한숨 소리마저도 과거의 유물이 되어버렸다. 나는 낡고 먼지 쌓인 책들이 주인을 기다리는 작은 헌책방, ‘시간의 책장’에서 일했다. 손님과의 소통은 계산대 위에 놓인 작은 화이트보드와 펜이 전부였다. ‘안녕하세요’, ‘7,000원입니다’, ‘안녕히 가세요’. 내 언어는 그게 다였다. 그 남자가 처음 책방에 들어온 건, 쌀쌀한 바람이 옷깃을 여미게 하던 늦가을이었다. 그는 책방의 분위기처럼 말이 없었다. 훤칠한 키에 단단해 보이는 손, 무심한 듯 보이지만 무언가를 깊이 관찰하는 듯한 눈빛을 가진 사람이었다. 그는 한 시간이고 두 시간이고 책장 사이를 묵묵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