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시간은 꼭 고장 난 시계 같았다. 2년 전, 민준이 곁을 떠난 그날 이후로 서진의 시간은 더는 앞으로 나아가지 못했다. 계절은 속절없이 흘러 어느덧 거리엔 다시 연둣빛 새싹이 돋고 벚꽃 잎이 흩날리는 봄이 왔지만, 서진이 운영하는 작은 꽃집 ‘오늘의 꽃’은 여전히 한겨울의 스산함 속에 머물러 있었다. 꽃향기가 가득해야 할 공간은 늘 무거운 침묵으로 가라앉아 있었고, 형형색색의 아름다운 꽃들도 그녀의 텅 빈 눈동자에는 그저 흐릿한 색 덩어리로만 보일 뿐이었다. 꽃을 다듬고 물을 주고, 손님에게 건네는 모든 과정이 마치 미리 입력된 프로그램처럼 기계적으로 반복될 뿐이었다. 입가에 걸린 희미한 미소는 그녀의 진짜 감정을 가리기 위한 얇은 막과 같았다. “서진아, 너 정말 괜찮은 거 맞아? 이러다 너까지 쓰러..
햇살 좋은 오후, 먼지 쌓인 창문 너머로 나른한 공기가 스며드는 ‘햇살 동네 도서관’. 이곳의 주인은 서른 중반의 사서 민지였다. 그녀는 책 냄새와 오래된 나무 책장 냄새가 뒤섞인 이곳을 세상 그 무엇보다 사랑했다. 조금은 엉뚱하고, 가끔 책 정리를 하다 말고 창밖을 보며 멍하니 있기도 했지만, 도서관을 찾는 이들의 이름을 다정히 불러주고 그들이 찾는 책을 귀신같이 찾아내 주는, 마음 따뜻한 사람이었다. 도서관은 작고 낡았지만, 동네 사람들에게는 없어서는 안 될 아늑한 쉼터였다. 매일 오후 창가 자리에 앉아 뜨개질을 하는 정희 씨, 퇴근 후 들러 조용히 코딩 책을 보는 젊은 개발자 현우, 스페인어 원서를 빌려 가는 대학생 수현, 그리고 말수는 적지만 늘 묵묵히 신간 코너를 둘러보는 박 선생님까지. 그들..
#1. 바다는 늘 그 자리에 있었다. 끝없이 펼쳐진 수평선 너머로 해가 뜨고 지는 것을 묵묵히 지켜보며, 밀려왔다 밀려가는 파도로 시간을 노래했다. 그 바다가 가장 잘 보이는 곳, 해변가 작은 카페 '파도' 앞에도 늘 그 자리에, 파란 의자 하나가 놓여 있었다. 볕에 바래고 소금기에 절어 본래의 색을 잃고 하늘색에 가까워진 낡은 나무 의자. 군데군데 칠이 벗겨지고 살짝 삐걱거리기도 했지만, 이상하게도 그 의자는 사람들의 마음을 끌었다. 카페 주인 현수 씨는 그 의자를 일부러 밖에 내놓았다. 찾아오는 손님들이 잠시 쉬어가거나, 하염없이 바다를 바라볼 수 있도록. 마치 그 자리가 제 운명인 듯, 의자는 묵묵히 수많은 시선과 이야기를 담아내며 그곳에 있었다. 그리고 그 의자에는 유독 한 사람이 자주 앉았다. ..
회색 도시의 섬, 지훈 숨 막히는 회색 빌딩 숲 사이, '회색 성채'라 불리는 낡은 아파트가 있었다. 그곳 703호에는 프리랜서 번역가 지훈이 살았다. 그는 세상과 단절된 섬이었다. 창밖으로는 표정 없는 건물들만 보였고, 집 안에서는 키보드 소리와 커피 내리는 소리만이 규칙적으로 울렸다. 엘리베이터에서 마주치는 이웃들은 서로에게 눈길 한번 주지 않았고, 굳게 닫힌 현관문들은 각자의 외로움을 견고하게 지키는 듯했다. 아파트 옥상은 오랫동안 버려진 공간이었다. 깨진 타일 조각과 정체 모를 쓰레기들이 뒹굴었고, 도심의 소음만이 공허하게 맴돌았다. 지훈에게 그곳은 도시의 삭막함을 응축해 놓은, 올라갈 이유가 없는 곳일 뿐이었다. 그의 일상은 조용했고, 평온했지만, 그만큼 외로웠다. 녹색 씨앗, 관계의 시작 ..
오래된 길, 희미한 기억 오랜만에 찾은 고향은 뿌연 안개처럼 아득했다. 도시의 빽빽한 빌딩 숲과 숨 막히는 소음 속에서 잊고 지냈던, 느리고 평온한 공기. 지훈은 익숙하면서도 낯선 길을 천천히 걸었다. 그의 발길이 향한 곳은 어릴 적 동네 뒷산으로 이어지던, 이제는 희미한 기억 속에만 존재하는 ‘꽃길’이었다. 봄이면 흐드러지게 피어나는 야생화와 벚꽃이 터널을 이루던 곳. 그 길에는 언제나 수현이 있었다. 지훈과 수현. 이름만 떠올려도 가슴 한구석이 아련해지는 아이. 둘은 그 꽃길 위에서 함께 어른이 되는 상상을 했고, 반짝이는 미래를 속삭였다. 지훈은 성공한 건축가가, 수현은 아름다운 그림을 그리는 화가가 되고 싶어 했다. “나중에 내가 아주 멋진 집을 지으면, 네 그림으로 가득 채울 거야.” 어..
오래된 기차는 익숙한 풍경 사이를 더디게 흘렀다. 차창 밖으로 스치는 낮은 지붕들과 푸른 논밭은 수지가 떠나기 전과 크게 다르지 않았다. 다만 그 풍경을 바라보는 수지의 마음만이 잿빛으로 내려앉아 있었다. 한때 반짝이는 눈으로 세상을 담던 카메라는 가방 깊숙한 곳에서 먼지만 뒤집어쓰고 있었다. ‘꿈’이라 불렀던 그것은 빛바랜 사진처럼 흐릿해진 지 오래였다. 서울에서의 삶은 치열했고, 그만큼 공허했다. 무엇을 위해 그토록 달려왔는지 알 수 없게 된 어느 날, 수지는 모든 것을 멈췄다. 그리고 도망치듯, 어린 시절의 기억이 묻힌 고향집으로 향했다. 아무도 살지 않아 을씨년스러울 거라 예상했던 고향집은 의외로 따스한 햇살을 듬뿍 받고 있었다. 낡았지만 정갈한 마당에는 이름 모를 들꽃들이 소담하게 피어 있었다..